반응형

건축법 35

친한경 건축물 인증제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건축물 에너지효율 관리제도- 건축물 에너지효율 관리제도는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을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인증 제도를 포함합니다. 주요 제도와 최근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1.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도 (ZEB)- 2025년 1월 1일부터 기존의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와 통합 시행됩니다. - 건물의 에너지 자립률에 따라 1등급(100% 이상)부터 5등급(20% 이상 ~ 40% 미만)까지 인증합니다. 2. 평가 기준-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1++ 이상 - 에너지 자립률 -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또는 원격검침전자식 계량기 설치 3. 의무 대상 확대- 2023년부터: 연면적 500㎡ 이상 공공 건축물과 30세대 이상 공공 공동주택..

건축이야기 2025.02.22

공개공지(공개공간)

공개공지(공개공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공개공지1. 공개공지의 정의와 목적- 공개공지란 건축법 제43조 및 동법 시행령 제27조의 2에서 정한 바와 같이 일반 대중에게 상시 개방되는 공적 공간을 말합니다. 이는 도심 속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삶의 질을 높이며 도시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됩니다. 2. 공개공지 설치 기준1. 설치의무 대상 지역- 일반주거지역, 준주거지역 - 상업지역 - 준공업지역 - 특별자치시장, 특별자치도지사, 시장, 군수, 구청장이 도시화 가능성이 크다고 인정하여 지정·공고하는 지역 2. 설치의무 대상 건축물의 용도 및 규모공개공지 설치 의무는 주로 다중이 이용하는 건축물에 부과됩니다.  이는 해당 건축물들이 도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기 때문..

건축이야기 2025.02.21

채광창과 인동간격

채광창과 인동간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채광창1. 채광창의 정의와 기준 - 채광창은 건축법 시행령 제86조 제3항 제2호라 목에 따라 " 창 넓이가 0.5제곱미터 이상인 창"으로 정의됩니다. 2. 창 넓이 산정 방법 창 넓이 산정 방법에 대해서는 건축법상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채광창의 판단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단위 세대별로 동일한 벽면에 설치된 창문 등의 면적의 합계가 0.5제곱미터 이상일 경우 채광창으로 봅니다. - 자세한 산정 방법은 해당 지역의 허가권자(시장, 군수, 구청장 등)와 협의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3. 채광창 면적 기준- 채광을 위한 창문 등의 면적은 그 거실 바닥면적의 10분의 1 이상이어야 합니다. - 환기를 위한 창문 등의 면적은 그 거실 바닥면적의 2..

건축이야기 2025.02.20

건축법의 일조권

건축법의 일조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조권1. 일조권의 정의와 목적일조권은 햇빛을 향유할 수 있는 법률상 보호되는 권리로,  최소한의 햇빛 보장권을 의미합니다. 이는 건축물 사이의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여 주거지에 충분한 햇빛이 들어오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일조권 규정의 종류- 정북일조: 전용주거지역과 일반주거지역의 모든 건축물에 적용 - 채광창: 공동주택(기숙사 제외, 다세대주택은 1m만 이격)에 적용 - 인동거리: 공동주택에 적용 - 정남일조: 택지개발지구, 정비구역 등 특정 지역에 적용 3. 일조권 규정의 주요 내용1. 정북방향 일조권: - 전용주거지역과 일반주거지역에서 적용 - 건축물의 높이는 정북방향 인접 대지경계선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제한됨 2. 공동주택의 채광 확보: - ..

건축이야기 2025.02.20

건축협정을 통한 맞벽건축

건축협정을 통한 맞벽건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맞벽건축- 맞벽건축이란 둘 이상의 건축물 벽을 대지경계선으로부터 50cm 이내로 건축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일반적인 건축법상 이격거리 규정을 예외적으로 적용받는 방식입니다. 1. 주요 특징: - 토지 이용 효율성 증대 - 도시 미관 개선 - 건축법상 일부 규제 완화 (대지 안의 공지, 일조권 제한 등) 2. 맞벽건축 허용 지역- 상업지역 (다중이용 건축물 및 공동주택은 스프링클러 설치 필수) - 주거지역 (소유자 간 합의 필요) - 허가권자가 지정한 도시미관 또는 한옥 보전·진흥 구역 - 건축협정구역3. 건축협정을 통한 맞벽건축의 장점- 공간 활용 극대화: 개별 필지 개발보다 넓은 공간 확보 가능 - 통합 개발: 여러 필지를 하나의 단위로 묶어 개발 ..

건축이야기 2025.02.20
반응형